전체 글39 GI 지수와 GL 지수 활용하여 혈당 낮추기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건강 멘토 Da on입니다. 우리는 체중감량을 위해 섭취하고 있는 음식들이 얼마나 혈당을 올리고 인슐린을 분비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오늘은 탄수화물 별로 혈당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혈당지수 (GI = Glycemic Index)란? 어떤 음식을 섭취했을 때 얼마나 그 음식이 혈당을 빠르게 오르게 하는지 수치화(0~100)해서 나타낸 것입니다. 즉 혈당지수(GI)는 포도당이 소화된 후 혈류로 방출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GI지수는 호주의 시드니대학에서 당뇨병을 앓는 사람들에게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GI는 70 이상이면 고혈당 식품으로, GI가 50 이하면 저혈당 식품으로 분류합니.. 2022. 11. 6.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3대 영양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건강 멘토 Da on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영양의 기본인 3대 영양소를 하나씩 따져보겠습니다. 큰 틀에서 탄수화물과 지방은 주로 에너지원으로 단백질은 몸의 구성 성분 및 조절 성분으로 쓰입니다. 이 셋을 스포츠 영양에서는 매크로(macros)라 하고, 비타민이나 미네랄은 마이크로(micros)라고 합니다.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다양한 종류의 당분을 부르는 총칭입니다. 밀가루, 쌀, 설탕, 심지어 섬유소도 모두 탄수화물에 포함됩니다. 수많은 탄수화물 중 우리 몸이 직접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는 건 포도당과 과당이며 1g당 4kcal를 냅니다. 이 중 포도당은 모든 에너지 대사의 기본 연료로 몸 전체에서 쓸 수 있는 다재다능한 연료인 반면 과당은 간에서밖에 못 쓰는 연료입니다. 그나마.. 2022. 11. 6. 다이어트 개론 - 용어와 원리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건강 멘토 Da on입니다. 앞으로 본격적인 다이어트를 다루기에 앞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용어들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살면서 한 번쯤 들어 보았을 테지만 원리를 몰라 실생활에서 활용하지 못했던 지식들을 현실적인 차원에서 접근해보겠습니다. 열량과 신진대사를 이루는 3요소 1 kcal는 물 1L의 온도를 1도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나타냅니다. 식품에서 열량은 영양소를 몸에서 태울 때 나타나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합니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1g당 4kcal, 지방은 9kcal로 산출합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탄수화물 중 당알코올은 종류에 따라 0~2.4kcal, 섬유소는 2kcal로 산출합니다. 우리 몸은 섬유소를 직접 소화하거나 흡수하지는 못하지만 일부 장내 미생물에 의해.. 2022. 11. 5. 이전 1 ··· 7 8 9 10 다음